본문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별점(5점만점에 1점)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바람이 가을 내음을 느끼게 해준다. 청명한 가을을 맞아 멋스러운 경치가 함께하는 숨겨진 매력적인 탐방로를 소개한다. 자연을 벗 삼아 걸을 수 있는 트레킹 코스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제격이다. 호젓한 산책길을 거닐며 피톤치드 가득한 숲을 마주하며, 도심에서는 느낄 수 없는 신선한 공기를 한껏 들이마실 수 있다. 걷기 좋은 계절 가을, 한라산이 품은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로 떠나보자.

  • 리뷰

    1

  • 조회

    3,782

  • SNS 공유 수

    4

상세정보확장됨

걸어야 보이는 도보여행의 미학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청명한 가을을 맞아 멋스러운 경치가 함께하는 숨겨진 매력적인 탐방로를 소개한다. 자연을 벗 삼아 걸을 수 있는 트레킹 코스는 가을의 정취를 만끽하기에 제격이다. 호젓한 산책길을 거닐며 피톤치드 가득한 숲을 마주하며, 도심에서는 느낄 수 없는 신선한 공기를 한껏 들이마실 수 있다. 걷기 좋은 계절 가을, 한라산이 품은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로 떠나보자.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길 위에서 역사와 문화를 마주하다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아침저녁으로 서늘한 바람이 가을이 왔음을 알린다. 가을만큼 걷기 좋은 계절이 어디 있을까? 아라동에 숨겨진 보석 같은 탐방길 ‘역사문화탐방로’는 천천히 걸으며 한라산이 품은 다양한 매력을 느낄 수 있다. 총 6.3km인 탐방로는 3개 코스로 나뉜다. 1코스와 2코스는 역사와 문화, 자연을 깊이 있게 만날 수 있는 트레킹 코스이고, 3코스는 가볍게 걷기 좋은 산책로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역사문화탐방로에 진입할 수 있는 곳은 총 4개의 지점으로 취향에 맞게 골라보자. 1코스는 관음사를 시작으로 신령바위, 노루물, 칼다리폭포, 고사리평원, 삼의악샘, 육각정을 지나는 코스이다. 제주 불교성지 순례길, 삼의악 트레킹 코스, 관음사 내창 숲길과 일부 구간이 공유되어 있다. 2코스는 산천단에서 소산오름 편백나무숲쉼터까지 가는 코스이다. 1코스보다 비교적 거리가 짧고 고요한 숲길로 이루어져 걷기 좋다. 덕분에 동네 주민들의 산책코스로 이용되고 있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곰솔이 있는 ‘산천단’과 ‘고사리평원’에서 유유자적 풀을 뜯는 말도 만나는 즐거움이 있다. 일부 구간은 인적이 드물고, 바위가 많아 트레킹화를 신고 걷는 것을 추천한다. 초록 숲이 다채로운 색의 옷을 갈아입는 계절, 가을!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에서 가을의 정취를 느껴보자.

힐링과 치유의 숲소산오름과 편백나무쉼터


소산오름은 제주 시내와 가깝고 가볍게 산책하기 좋은 오름이다. 오름 전체가 해송, 편백나무, 삼나무로 우거져 있어 푸르름이 가득하다. 오름 입구를 지나면 한적하고 조용한 분위기의 ‘편백나무숲쉼터’가 나온다. 하늘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빽빡하게 나무가 들어선 숲길을 걸으면 코 끝 가득 피톤치드 향이 가득 차오른다. 신선한 흙내음과 자연의 소리가 편안함을 더한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최근 이곳 편백나무 숲길에는 맨발걷기(어싱)를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흙의 촉감을 느끼며 맨발로 걸으면 어느새 자연과 하나 됨을 느낀다. 맨발걷기는 체내 전자파를 배출하고 혈액순환 촉진과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을 준다고 한다. 중간중간 평상이 놓여 있어 휴식을 취하기도 좋다. 우거진 나무 사이사이로 들어오는 햇빛과 풍경은 덤이다.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을 치유하러 떠나보자.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주소 : 제주 제주시 아라1동 산31

아름다운 자연 속 아픈 역사의 흔적 <칼다리폭포와 진지동굴>


‘칼다리폭포’는 바위가 빗물에 의해 부서져 내리면서 생긴 모습에 붙여진 이름이다. 평소에는 칼로 자른 듯한 절벽만 볼 수 있지만 비가 많이 온 뒤에는 벌벽 아래로 폭포가 쏟아져 내리는 장관을 연출한다. 폭포가 흐르지 않더라고 세월의 흔적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용암 절벽과 울창한 자연림이 어우러진 모습에 감탄이 절로 나온다. 지저귀는 새소리와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며 폭포를 감상하고 있으면 한 폭의 예술 작품을 보는 듯하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칼다리폭포에서 발걸음을 옮기면, 아픈 역사의 현장인 ‘진지동굴’을 볼 수 있다. 진지동굴은 태평양전쟁 막바지, 제주도에 들어온 일본군들에 의해 구축된 동굴 형태의 군사 진지이다. 일본군 7만4천여명을 제주도에 주둔시키며 해안기지, 비행장, 도로 등 각종 군사시설을 건설하였는데 이때 많은 제주도민이 강제 동원되었다. 가슴 아픈 역사를 되새겨 보는 것도 또 다른 의미가 될 것이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신비로움 가득한 비밀의 숲 <신령바위>


자연 그대로의 모습이 아름답게 보존되고 있는 비밀의 숲으로 가보자. 신비로움 가득한 숲길을 지나면 ‘신령바위’를 만나게 된다. 신령바위 주변은 유난히도 숲이 울창하다. 오랜 세월의 흔적을 머금은 바위와 바위 위로 멋스럽게 뿌리를 내린 나무, 그 틈에서 자라고 있는 이끼가 이곳에 정말이지 산신령이 살고 있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신령바위’에는 한라산 신령이 서려 있어 두 손을 모아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한다. 그래서일까? 먼저 이곳을 다녀간 이들이 쌓아 둔 소원 돌탑이 여기저기에 놓여 있다. 작은 돌을 올려두고 소원을 빌어 본다. “소원아 이루어져라 얍!”

한라산이 품은 아름다운 사찰 <관음사>


제주 관음사는 도내 30여 사찰을 관장하는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사찰이다. 한라산 기슭에 자리하여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고즈넉함을 간직하고 있다. 사찰의 산문 중 첫 번째문인 일주문을 지나 천왕문으로 가는 길을 곧게 뻗은 삼나무와 더불어 현무암 돌담 위에 자리 잡은 석불과 연등이 운치를 더한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사찰 내부는 웅장하고 멋스러우면서도 단아한 느낌이다. 잘 조성된 산책로를 걷다 보면 마음이 평온해진다. 제주도민의 풍요로움과 안락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는 미륵 대불과 주변 만불상의 모습도 압도적이다. 제주의 토속신앙 돌 문화 계승과 개인의 안녕을 위해 만들어진 ‘설문대 할망 소원돌’도 제주만의 특색이 담겨 있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자연을 벗 삼아 오르다 <삼의악 오름>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삼의악 오름은 산 정상부에서 샘이 솟아 나와 ‘새미오름’이라고도 불린다. 산책로가 잘 정비되어 있어 높게 뻗은 나무 사이를 걸으며 천천히 오르기 좋은 곳이다. 숲속의 청량감과 은은하게 코끝을 스치는 피톤치드 향을 맡으며 천천히 걸어 보자. 정상까지 약 30분가량 소요되며 오름의 초입과 일부 구간은 경사가 있는 편이니 참고하자.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오름을 오르는 내내 울창한 숲길이 멋스러워 발걸음을 멈추게 한다. 다양한 꽃들과 풀벌레 소리마저 정겹다. 사려니숲길, 비자림과 견주어도 손색이 없다. 정상에 도착하면 능선 둘레길을 한 바퀴 둘러볼 수 있다. 한라산을 바로 눈앞에서 감상할 수 있는 전망대도 있어  한라산을 배경으로 인생샷을 남길수 있다. 반대편으로는 제주 시내와 푸른 바다가 한눈에 들어오는 스폿도 있으니, 놓치지 말 것! 시원한 바람을 벗 삼아 가을 색으로 물들고 있는 삼의악 오름으로 발걸음을 옮겨보자.

 

▶주소 : 제주시 아라일동 6-5

숲속 산장 같은 카페 <고도500>


한라산 500 고지 부근에 위치한 카페, ‘고도500’. 아늑한 느낌을 주는 목조 건물이 마치 산장에 온 듯하다. 카페 내부도 우드톤 인테리어로 차분한 분위기이다. 주인장의 손길이 느껴지는 작은 소품들이 인상적이다. 카페 한편에 놓인 피아노는 방문객들로 하여금 작은 연주회를 열게 한다.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이곳의 시그니처 음료는 버터카라멜과 커피 크림이 올라간 ‘고도500’이다. 곁들일 디저트로는 카이막 바게트와 브라운 치즈가 소복이 올라간 크로플이다. 한입 베어 물면 달콤함이 입안에 가득 찬다. 메뉴를 선택하기 어렵다면 친절한 주인장에게 추천받아보자.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넓은 창으로 들어오는 따스한 햇살과 풍경은 그림 같다. 선선한 가을에는 야외 정원을 둘러본 후, 테라스에 앉아 상쾌한 공기와 바람을 만끽하며 경치를 눈에 담아보기를 추천한다. 정원의 꽃들과 포토 스폿에서 사진을 남겨 보는 것도 잊지 말 것!


▶주소 : 제주시 산록북로 817

▶전화번호 : 064-726-5888

▶운영시간 : 9시 - 19시 (라스트 오더 18:30, 격주 월 휴무)
▶기타 : 반려견 동반 가능 케이지 및 리드줄 필수

  • 리뷰축소됨

    여행가의 리뷰(0)

    • 0

      방문 : 2023년 11월 1일. 1코스 관음사에서 출발. 관음사 입구 왼편 화장실 옆에 탐방로 안내도가 있으나 어디로 가라는 화살표가 없음. 화장실 왼편 길로 조금 나가니 포장도로로 직진하라는 화살표가 있어 주욱 따라가면 관음사 나한전이 나오고 길이 없음. 다시 내려가 숲쪽으로 난 길(4.3 탐방로 안내만 있음)로 가면 이제야 아라동 탐방로 화살표 보임. 출발점인 '관음사'에 시작 표시가 필요함. 1코스 신령바위, 노루물, 칼다리폭포를 지나니 오른쪽으로 삼의악오름, 왼쪽으로 산천단을 가리키는 표지판이 있어 일정상 산천단 쪽으로 갔다가 큰 고생을 함. 1코스와 2코스가 연결이 안 되고(안내도에는 사유지로 폐쇄구간이라고 되어 있는 길인 듯함) 사유지이기 때문인지 아라동 탐방도 안내는 어디에도 없어 험한 계곡길을 이리저리 헤매다 겨우 도로를 건너 2코스 편백나무쉼터를 만남. 1코스와 2코스는 숲길이 걷기에 좋으나 전반적으로 코스 안내가 부족함. 특히 두 길이 연결이 안 되는 게 가장 큰 단점이고, 폐쇄구간에 대해서는 자세한 안내가 필요함. 잘못해서 이 길로 들어서면 무한정 헤매게 됨(동네사람은 그렇지 않겠지만). 제주 시내에 있는 좋은 길인데 자세한 방향 안내가 무척 아쉬움. 길 안내만 잘 되어 있다면 다시 가고 싶은 길임.

      •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리뷰사진1
      • 제주마을산책 가을편 <아라동 역사문화탐방로> 리뷰사진2
유의사항
※ 위 정보는 2023-09-14 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위 콘텐츠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제주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