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별점(5점만점에 3점)

에메랄드빛 바다와 오름, 곶자왈과 노란 유채꽃. 아름다운 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제주의 곳곳은 사실 많은 이들의 무덤이자 슬픔이 서린 곳이다. 세월의 더께를 입고 상처를 덮어버렸지만, 수많은 도민들에게 제주는 아직도 아픈 상흔으로 남아있다. 그 상흔을 위로하기 위해서는 4·3에 대해 바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 4·3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우선 4·3을 다룬 문학이나 영화를 통해 접근해보는 건 어떨까.

  • 리뷰

    3

  • 조회

    3,234

  • SNS 공유 수

    0

상세정보확장됨

4·3을 보고 읽다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에메랄드빛 바다와 오름, 곶자왈과 노란 유채꽃. 아름다운 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제주의 곳곳은 사실 많은 이들의 무덤이자 슬픔이 서린 곳이다. 세월의 더께를 입고 상처를 덮어버렸지만, 수많은 도민들에게 제주는 아직도 아픈 상흔으로 남아있다. 그 상흔을 위로하기 위해서는 4·3에 대해 바로 아는 것이 중요하다. 4·3에 대한 지식이 없다면 우선 4·3을 다룬 문학이나 영화를 통해 접근해보는 건 어떨까.

폭도로 몰린 순박한 동광리 주민들의 이야기영화 <지슬- 끝나지 않은 세월 2>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나쁜 조건에서도 많은 수확을 얻을 수 있는 구황작물 감자. 제주어로 감자를 뜻하는 지슬은 그 안에 얽힌 슬픈 이야기를 투박하고 무덤덤하게 풀어내며 영화의 소재가 되었다. 지슬은 4·3 사건을 배경으로 한 영화로 폭도로 몰린 안덕면 동광리 주민들이 숨어 지내던 큰넓궤(동굴)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일들을 그린 영화다. ‘해안선 5km밖의 모든 사람을 폭도로 여긴다’는 소문이 돌자 피난길에 오른 마을 사람들. 작은 마을에 닥친 4·3의 소용돌이 속에서 마을과 주민들의 삶은 송두리째 바뀌었지만 산 속에 숨어 서로 감자를 나누어 먹으며 보내는 일상의 순간들은 순박해서 더 아름답고, 또 슬프다.
영화 속에 나온 장소들을 실제로도 가볼 수 있는데 군인들이 굴을 발견하는 장면과 주민들이 불을 피우던 장면 등은 실제 동광리 큰넓궤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또 지슬 포스터에 나온 군인과 순덕의 대치 장면은 용눈이오름에서 촬영된 장면이다.
지슬은 이념이나 사상에 대한 덧붙임 없이 4·3 당시의 한 단면을 엿볼 수 있는 영화다. 제주 출신 오멸 감독이 만들었으며 한국영화 최초로 선댄스 영화제에서 ‘깊이 있는 서사와 더불어 시적인 이미지까지, 우리 모두를 강렬하게 사로잡을 만큼 매혹적’이라는 찬사를 들으며 만장일치로 심사위원 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 희생자들을 위한 기도다큐멘터리 영화 <비념>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제주 4·3사건으로 희생된 제주사람들에 관한 다큐멘터리 영화로 4·3사건으로 남편을 잃은 강상희 할머니의 삶 속에 묻어나는 슬픔과 한숨을 돌아본다. 애월읍 납읍에 살고 있는 강상희 할머니는 지금도 녹슨 톱을 잠자리에 두고 살아갈 정도로 4·3의 고통을 온몸으로 받아내며 살아가고 있다.
비념은 두 손을 비비며 신에게 올리는 기도를 뜻하는 말인데 이 영화는 4·3사건으로 상처받은 영혼들을 어루만지기 위한 치유의 기도처럼 깊고 내밀한 이야기들을 풀어낸다.
감독은 4·3 희생자들을 따라 제주의 곳곳을 돌아다니며 희생자들의 이야기를 듣고, 또 제주도 전체가 치유되지 않은 4·3의 무덤임을 필름 속에 담아낸다. 나무, 돌, 숲의 풍경은 눈부시게 아름답지만 관광지라는 이름 아래에 숨겨진 과거의 아픔들을 하나둘씩 들추어낸다. 아픔은 숨기고 가리는 것이 아니라 들추어내어 위로해야한다는 신념을 담고 있는 영화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현기영 작가가 그려낸 4·3 소설의 최고봉<순이삼촌>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흔히 ‘삼촌’하면 떠올려지는 이미지와는 달리, 제주에는 촌수를 따지기 쉽지 않은 친척 어른을 모두 삼촌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여자도, 남자도 모두 삼촌이 된다. 순이삼촌은 순이라는 이름을 가진 한 여자의 이야기를 다룬 작품으로 제주와 4·3문학을 대변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한 현기영 작가의 대표작이다. 역사적 사건이 소설이라는 형태로 표현된 사실주의 작품으로 1949년 북제주군 조천면 북촌리에서 벌어진 양민학살을 모티브로 삼고 있다.
주인공은 4·3 사건 당시 마을 사람 수백 명이 모두 죽음을 당하는 학살 현장에서 기적적으로 살아난 순이 삼촌의 이야기를 다룬다. 4·3사건 이후, 경찰에 대한 심한 기피증과 이후 신경쇠약과 환청에 시달리던 순이 삼촌은 결국 사람들이 모두 죽어간 그곳에서 약을 먹고 자살한다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30년간 목숨은 붙어 있지만 죽은 것과 다름없는 삶 속에서 30년을 보낸 그녀의 삶을 되짚어가며 4·3사건을 조명했다.

4·3을 보고 읽다 <제주의 상처에 위로를 바르다>

 

유의사항
※ 위 정보는 2018-02-26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위 콘텐츠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제주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