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입맛 돋는 제철 음식 <제주는 지금 고사리 시즌>
별점(별점없음)
4월 제주는 ‘고사리 시즌’이 한창이다. 이맘때면 안개가 끼고 습한 날이 잦은데, 봄비를 맞은 고사리가 쑥쑥 자란다고 하여 일명 ‘고사리장마’라 불린다. 안개비를 맞고 하루가 다르게 자란 고사리는 가장 연하고 은은한 단맛이 더해져 입맛을 한껏 돋운다. 얼마 남지 않은 봄과 함께 제철 고사리를 다양하게 즐기러 고사리 여행을 떠나보자.
리뷰
0
조회
3,641
SNS 공유 수
2
상세정보확장됨
- 입맛 돋는 제철 음식 <제주는 지금 고사리 시즌>
4월 제주는 ‘고사리 시즌’이 한창이다. 이맘때면 안개가 끼고 습한 날이 잦은데, 봄비를 맞은 고사리가 쑥쑥 자란다고 하여 일명 ‘고사리장마’라 불린다. 안개비를 맞고 하루가 다르게 자란 고사리는 가장 연하고 은은한 단맛이 더해져 입맛을 한껏 돋운다. 얼마 남지 않은 봄과 함께 제철 고사리를 다양하게 즐기러 고사리 여행을 떠나보자.
제주 고사리는 산에서 나는 소고기라 불릴 만큼 영양이 풍부하고 품질이 좋기로 이름났다. 예로부터 임금님께 진상됐을 정도라고 하니, 그 맛이 더욱 궁금하다.

한라산 중턱 습한 곳에서 자라는 제주 고사리는 통통하고 부드러워 맛이 좋기로 유명하다. 3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제철을 맞이한 고사리 수확이 한창이다. 고사리 장마에 내리는 비로 축축해진 땅은 고사리가 움트고 나올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만들어준다. 끝이 동그랗게 말려있는 고사리 새순은 수분을 가득 머금어 지금 가장 좋은 맛을 낸다. 봄의 푸르름을 가득 담은 생고사리와 함께 마을 산책을 즐겨보자.



제주의 봄을 품은 고사리 꺾기를 하고 싶은 이들을 위해, 체험 프로그램을 소개하고자 한다. 4월 3일부터 5월 7일까지 단 한 달만 진행하는 고사리 이색 체험이 있다. 고사리 스팟을 찾아 직접 꺾어보고 삶고 볕에 말리는 모든 과정을 체험할 수 있다.




오전 일찍 고사리꾼과 함께 고사리를 찾으러 한라산 중턱을 오른다. 보물찾기하듯 고사리 삼매경에 빠져볼 시간이다. 고사리를 꺾을 수 있는 명당은 딸이나 며느리에게도 알려주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귀하다고 하는데, 이번 체험으로 자신만의 고사리 포인트를 찾아봐도 좋겠다. 고사리는 맛도 맛인데, 꺾는데 묘한 손맛도 있다. 손으로 꺾을 때 ‘똑’, ‘똑’ 경쾌한 소리가 나 손맛이 좋다고 한다. 시간 가는 줄도 모르고 꺾다 보면 어느새 주머니가 고사리로 가득해진다.



고사리는 꺾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다음 과정도 중요하다. 아담한 제주 돌집에서 고사리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삶아볼 시간이다. 고사리에는 독성이 있다고 알려졌지만, 삶고 씻는 과정을 통해 독성은 제거되기에 걱정하지 않아도 괜찮다. 살짝 삶은 후, 제주 햇살에 말리면 1년 내내 맛있는 고사리를 맛볼 수 있는 건고사리가 완성된다.
과거 제주에서는 잔칫날이 되면 돼지를 잡는 풍속이 있었다. 돼지를 삶아 낸 후, 남은 국물에 모자반을 넣고 끓여 ‘몸국’을 대접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 당시 모자반을 수탈당하고 몸국을 맛보기 힘들어지자 모자반 대신 고사리를 넣고 끓인 것이 바로 ‘고사리육개장’이다. 보통의 육개장은 빨간 국물이 떠오를 테지만, 제주식 고사리 육개장은 완전히 다른 비주얼이다. 제주에서만 맛볼 수 있는 제주식 육개장이다.



봄철에 꺾은 고사리를 불리고 돼지고기 육수와 함께 고사리 형태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뭉근히 끓인다. 여기에 메밀가루를 풀면 제주식 고사리 육개장이 완성된다. 제주 사람들은 잘 만들어진 고사리 육개장을 맛본 후엔 ‘베지근하다’라고 말한다. 고기를 푹 삶은 육수에서 깊고 담백한 맛이 난다는 표현인데 한 입 맛보면 절로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진한 국물과 은은한 고사리 향이 일품인 제주 별미다. 입맛이 없을 때 고사리 육개장 한 그릇으로 든든하게 보양해보자.
제주 명절에는 어느 집 할 것 없이 참기름을 두른 고사리나물이 제사상에 올라간다. 다른 반찬들도 많지만, 왠지 없으면 섭섭한 고사리나물. 비빔밥에 빠질 수 없는 단골 재료다. 특히 집 나간 입맛을 되찾는데 고사리 비빔밥만 한 것이 없다.

재료라 할 것 없이 남은 반찬과 고사리, 고추장이면 충분하다. 고슬고슬 흰쌀밥 위에 조물조물 양념한 고사리를 올리고, 고추장에 비벼 맛보면 숟가락을 놓을 틈이 없다. 특히, 이맘때 맛보는 고사리는 쫄깃하고 부드러운 식감은 물론 고사리 특유의 향까지 가득하다. 나른해지는 봄철 고사리 비빔밥은 입맛과 함께 기운을 복 돋아 줄 것이다.

제주 고사리의 명성은 워낙 자자하지만 이 가운데서도 서귀포 남원지역의 고사리는 두툼하고 향이 좋아 최상품으로 꼽힌다. 서귀포시 남원읍 수망리에서 열리는 ‘한라산청정고사리축제’는 서귀포 중산간 넓은 들녘에 가득 펼쳐진 고사리를 꺾고 체험할 수 있어 제주도민과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좋다.
<축제명 : 한라산 청정 고사리 축제>
♣ 기 간 : 2023. 04. 29(토) ~ 4. 30(일) / 2일간
♣ 장 소: 서귀포시 남원읍 한남리 산76-7 일원 (국가태풍센터 서측)
♣ 주최/주관 : 서귀포시 남원읍/남원읍 축제위원회


- 유의사항
- ※ 위 정보는 2023-04-14 에 작성된 정보로, 이후 변경될 수 있으니 여행 하시기 전에 반드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 위 콘텐츠에 사용된 텍스트, 사진, 동영상 등의 정보는 제주관광공사가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콘텐츠의 무단 사용을 금합니다.